728x90

부가가치세 기한후신고 가산세
부가가치세 기한후신고 가산세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 시 "가산세" 및 "가산세 감면", "중복적용 배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1. 부가가치세 법정신고 및 납부기한

과세기간 신고대상자 과세대상기간
신고납부기간
제 1기

1.1 ~ 6.30
법인사업자 예정신고 1.1 ~ 3.31 4.1 ~ 4.25
확정신고 4.1 ~ 6.30 7.1 ~ 7.25
개인 일반사업자 확정신고 1.1 ~ 6.30 7.1 ~ 7.25
제 2기

7.1 ~ 12.31
법인사업자 예정신고 7.1 ~9.30 10.1 ~ 10.25
확정신고 10.1 ~ 12.31 다음해 1.1 ~ 1.25
개인 일반사업자 확정신고 7.1 ~ 12.31 다음해 1.1 ~ 1.25

 
개인 일반사업자와 소규모 법인사업자(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 1억 5천만 원 이상)는 직전 과세기간(6개월)에 신고하고 납부했던 납부세액의 50%를 예정고지에 따라 납부해야 하고 납부한 예정고지세액은 확정신고 시 기납부세액으로 차감됩니다. 이때 예정고지의 금액이 50만 원 미만은 고지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대상자도 예정신고 기간 중에 조기환급을 적용받으려면 해당 달의 다음달 25일까지 영세율 등 조기환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 또한 휴업 또는 사업 부진 등으로 각 예정신고 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이 직전 과세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의 1/3에 미달하는 경우에만 예정신고가 가능합니다. 예정고지 대상자가 예정신고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예정고지가 취소됩니다.
 
이때에 맞춰 신고를 완료하지 못했을경우 기한 후 신고 가산세가 발생합니다.
다음은 부가가치세법의 가산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2. 부가가치세법 가산세

구분
적용범위 가산세율 (공급가액)
① 미등록가산세
     허위등록가산세
사업자등록 하지아니한때
사업자의 명의를 위장하여 등록한때
1%




㉠ 세금계산서
     미발급가산세
세금계산서 발급하지 아니하였을때
(확정신고기한까지 발급하지 않은 경우)
2%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자가 
종이세금계산서 발행한 경우
1%
㉡ 가공세금계산서 공급이 없음에도 가공으로 발급한때 3% (17년이전 2%)
㉢ 위장세금계산서 실공급받는자가 아닌 타인명의로 발급 2%
㉣ 세금계산서
     부실기재가산세
교부한 세금계산서의 기재내용의 누락,
과다 사실과 다르게 기재한때
착오, 과실 : 1%
과다기재 : 2% (18년부터)
㉤ 세금계산서
     지연발급가산세
발급기한 (다음달 10일) 경과 후 해당
과세기간 확정신고기한내 발급하는 때
1%
㉥ 매출처별합계표
     미제출가산세
매출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아니한 때
0.5%
㉦ 매출처별합계표
    부실기재가산세
매출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의 기재사항
누락, 사실과 다르게 기재한 때
0.5%
㉧ 매출처별합계표
     지연제출가산세
예정신고분을 확정신고시 제출한 때 0.3%
㉨ 전자세금계산서
     지연전송계산서
전송기한 경과 후 과세기간말의 다음달
11일까지 전송하는 경우
19년이후 0.3% (종전 0.5%)
㉩ 전자세금계산서
     미전송계산서
전송기한 경과 후 과세기간말의 다음달
11일까지 전송하지 않은 경우
19년이후 0.5% (종전 1%)
③ 매입 ㉠ 매입가액을 과다하게 기재하거나
    필수적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른 때
사실과 다른 때 : 0.5%
매입가액 과다기재 : 2%
(18년부터)
㉡ 경정시 경정기관의 확인을 거쳐 세금
     계산서등에 의해 매입세액공제 받는 때
㉢ 발급시기이후 발급 받은분(지연수취)
㉣ 가공, 위장 매입세금계산서 가공 3%, 위장 2%
(17년 이전 모두 2%)
④ 현금매출명세서
     부동산임대명세서
전문인적용역사업자등 수입금액명세서,
임대공급가액명세서 미제출, 제출누락금액
1%

 
그렇다면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에 대한 가산세는 어떤 게 있을까요? 다음은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 가산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3.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 가산세

부가세 기한 후 신고 시 적용되는 가산세로는 "무신고가산세" 및 "납부불성실가산세"가 있습니다.
납부불성실가산세는 부가세를 신고하였는데 납부를 하지 않을시에도 적용됩니다.
 
㉠ 무신고 가산세
부가가치세 신고를 신고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무신고로 간주되어 납부할 세액의 20%가 무신고 가산세로 부과됩니다. 부정 무신고로 인한 가산세는 40%입니다.

납부세액 = 매출세액(부가세 신고서상) - 매입세액(부가세 신고서상)
                   - 경감, 공제세액(예정고지, 자진납부세액, 신용카드세액공제, 의제매입세액등)
728x90

 


㉡ 납부불성실가산세
부가가치세 납부를 하지않아 발생하는 가산세입니다. 납부불성실가산세는 부가세 신고 마감일로부터 실제 부가세를 납부하는 날까지 일수에 따라 부과됩니다.

납부불성실가산세 = 미납부세액 X 경과일 수 X 2.5/10,000

 

① 무신고, 신고불성실,
     환급신고불성실
㉠ 무신고 일반 무신고 납부세액 20%
부정 무신고 40%
㉡ 신고불성실 일반 과소신고 과소신고분
납부세액
10%
부정 과소신고 40%
㉢ 초과환급신고 일반초과환급신고 초과신고분
환급세액
10%
부정초과환급신고 40%
② 납부불성실
     가산세
무납부, 과소납부, 과다 환급 받은때 납부세액 1일 2.5/10,000
2022.2.15. 부터
1일 2.2/10,000
728x90

 


 

4.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 감면

1개월 이내 기한 후 신고를 하게 되면 무신고 가산세가 50% 감면이 되고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기한 후 신고를 하게 되면 무신고 가산세가 30% 감면이 되며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기한 후 신고를 하게 되면 무신고 가산세가 20%가 감면됩니다. 하루라도 빨리 신고를 하는 것이 납부할 세액 감면에 도움이 됩니다.
 

기한 후 신고 기간 감면율
1개월 이내 50%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30%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20%
728x90

 

 

 


 
이상으로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시 가산세와 기한 후 신고 감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블로그는 나열만 해놓았을 뿐 책임을 질 수는 없습니다. 신고 시 한 번 더 확인하고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더존 위하고 재무제표 결산 반영 방법 법인세 신고 전 준비과정

 

더존 위하고 재무제표 결산 반영 방법 법인세 신고 전 준비과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더존 위하고에서 법인세 신고시 재무제표 결산 반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 ↓ ↓ ↓ 아래 링크를 확인하면

mingmangmoong.com

2024 연말정산, 놓치면 후회할 세액 공제 항목

 

2024 연말정산, 놓치면 후회할 세액 공제 항목

안녕하세요! 오늘은 앞으로 다가오는 2024 연말정산, 놓치면 후회할 세액 공제 항목에 대해 알아볼까요?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 ↓ ↓ ↓ 아래 링크를 확인하면 연말정산

mingmangmoong.com

내일채움공제 세액감면 신청서 작성 방법

 

내일채움공제 세액감면 신청서 작성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내일채움공제 세액감면 신청서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1. 내일채움공제 만기금 수령 시 과세대상?내일채움공제란 청

mingmangmoong.com

 

728x90

+ Recent posts